주식투자를 하기에 앞서 꼭 알아야 하는것은 바로 주식 차트 보는 법 입니다. 주식 차트 보는 방법을 알아야 매수, 매도 기준을 잡아볼 수 있죠. 오르락 내리락 하는 빨간색의 봉과 파란색의 봉이 있는데요. 이녀석들이 나타내는 정보를 읽어 나가는 연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양봉, 음봉
주식 차트를 보고 투자 타이밍을 잡을 수 있도록 활용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음봉이 연속으로 나오는 상황이라면?? 기본적으로 매수를 하지 않는 선택을 하는것이 안전 할 수 있습니다. 시장 상황을 봉 차트 만으로 판단할수는 없겠지만, 위험을 최대한 피하기 위해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음봉이 연속으로 나오지 않고, 양봉으로 전환이 된 후 바닥이 지지될 때를 타점으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음봉이 나타난다는 이야기는 매도를 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것으로 얼마나 더 떨어질지 알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양봉이 연속적으로 나온다면 어떨까요? 현재 보유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추세가 꺾이려 하기 전까지 보유를 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새롭게 진입을 하는 경우라면 높아진 상태에서 진입을 하는것이기 때문에 시세차익을 보는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음봉이 이어지는것과 반대로 양봉이 이어지는것은 매수세가 강하다는것을 의미합니다. 추가로 상승을 할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죠. 하지만 그만큼 고점에 가까워지고 있으니 조만간 꺾일것이라는것을 예견해주는것과도 같습니다. 상승하다 꺾이는 구간을 체크해두는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매매를 하는 기준 자료로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2. 갭
주식에서 갭이란 무엇일까요? 갭은 전날의 종가와 당일의 시초가 차이로인해 발생한 공백을 말합니다. 즉, 시장가로 매매가 된것으로 실시간으로 체결이 되지 않고 일괄로 체결된것을 말합니다.
갭을 돌파하고나면 크게 상승을 한 후, 하락을 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을 반복하다가 큰 폭으로 하락을 하기도 하는데요. 주가가 상승할 수 있는 것을 막아버리는 구간이 발생하게 됩니다. 갭 사이에 있는 봉을 갭 지지선, 갭 저항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만약 이탈을 하면 지지선은 저항선으로 바뀌게되고, 저항선은 강저항선으로 변하게 됩니다. 주식 차트 상에서 갭이 보이고 있다면 지지선, 저항선을 그어놓은 후 돌파를 하는지 이탈을 하는지 체크를 해야만 합니다.
3. 꼬리
꼬리를 통해서는 차익실현을 위한 라운드 피겨, 저항대, 매집 심리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꼬리의 끝과 출발을 지지선, 저항선의 기준으로 잡을 수 있습니다.
저항대 : 고점
돌파 : 전고점 돌파
주식 차트는 주가가 움직이는 흐름을 한눈에 파악을 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이전에 일어났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앞으로의 주가 변동 상황을 예상해볼 수 있죠. 물론 이전 주식 차트 자료를 통해 앞으로의 상황을 100% 예상해볼 수 있는것은 절대 아닙니다. 하지만 비슷한 형태로 이동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염두를 해 두어야 하죠.
승률을 높이기 위해 활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일 뿐이니, 최대한 잘 활용해서 손실을 줄이며 안정적인 투자를 진행 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주식투자 절대원칙 3가지
주식투자에 필요한 절대원칙 3가지를 확인해보세요. 투자계획 없이, 자신만의 절대 원칙이 없는 상태에서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것은 지도/네비게이션 없이 여행을 하는것과 비슷합니다. 숙소는
gahomansa.tistory.com
주식초보 실패 부르는 5가지 투자 실수
나도 주식초보 ?! 주식투자를 하면서 돈을 벌기도 하고 잃기도 하지만, 상당수의 투자자들은 돈을 잃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남들은 다 돈을 번다는데, 도대체 왜 내가 사기만 하면 그때부터 주
gahomansa.tistory.com
주식 액면분할 이란 무상증자 차이
초보주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용어들과도 친분을 쌓을 필요가 있습니다. 경제기사나, 주변 주식투자자들에게서 자주 듣게 될 수 있는 주식 액면분할 이란 무엇인지, 액면분할이 가지
gahomansa.tistory.com
국가, 1인당 GDP란 경제성장률 쉽게알기
매일아침 뉴스 기사만보더라도 GDP란 용어를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경제상황을 설명할때 어떠한 기준이 되는것을 뜻하는 단어처럼 느껴지는데요. 과연 이 GDP란 무엇이길래 경제성장률 이야기
gahomansa.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둘기파 매파 ( 금리 이야기 (0) | 2022.04.29 |
---|---|
신용관리 하는 7가지 방법 (0) | 2022.04.27 |
단타 손절 해야하는 건 바로 '이때'? (0) | 2022.04.08 |
주식투자 절대원칙 3가지 (0) | 2022.04.07 |
경기 지표 : 개별경제, 종합경기, 경제심리 지표 (0) | 2022.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