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제수지란 - 경상수지, 자본수지

(。・・。) 2022. 1. 30. 13:36

국제수지 라는 말을 들어보셨을텐데요. 쉽게 말해 일정한 기간 동안 다른 나라들과의 국제 거래를 통해서 발생하게 된 수입과 지출을 의미한답니다. 우리나라는 수입과 수출, 두가지가 모두 많은 나리이죠. 

 

국제수지라는것은 두가지로 나뉘어 지는데요. 경상수지 그리고 자본수지 입니다. 주로 자주 접하게 되는 말은 경상수지이죠!

 

 

 

국제수지

경상수지란

물건을 사고 판 행동에 대한 기록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거래되는 것은 상품이나 서비스 등 모든것이 포괄적으로 들어가는데요. 일반적인 상거래를 통해서 원화가 아닌 '외화'가 들어오고 나가는 차이를 말합니다. 경상수지는 네가지로 구분이 되는데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그리고 경상이전수지 입니다.

 

1) 상품수지 :

제일 중요한 항목인데요.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말합니다. 만약 흑자가 난것이면 외화가 유입된것을 뜻하고, 적자라면 외화가 유출된것을 뜻합니다. 우리나라는 반도체나 화학, 조선, 자동차, 철강 등 수출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제조업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상품수지가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어요. 상품수지에서 흑자가 났다는 소식을 듣는다면, 현재 우리나라 기업상황과 경제분위기가 좋아지고 있다는것을 의미하죠. 이러한 분위기는 부동산이나 주식시장에도 좋은 영향일 미칠 수 있답니다.

 

 

2) 서비스수지 :

상품수지는 형태가 있는 제품들이 오고가는것이지만, 서비스수지는 말그대로 서비스를 통해 발생되는 수입, 수출입니다. 여기에는 어학연수나 유학, 해외여행, 운수 서비스 같은것들이 포함되죠.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해외로 많이 나가기 때문에 서비스 수지는 주로 적자를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Kpop 영향으로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들이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이 늘었지만, 요즘은 코로나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서비스 수지가 평소보다 많이 떨어졌겠죠?

 

3) 소득수지 :

소득수지라는것은 노동이나 투자를 함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 소득의 자이를 말합니다. 한국인이 해외에 나가서 벌어온 소득, 그리고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에서 벌어들인 소득 차이가 있죠. 투자를 해서 얻게 된 이자나 배당같은 소득 수입, 지급 차이도 포함됩니다.

 

4) 경상이전수지 :

대가없이 주고 받은 기부금 같은 거래 차이입니다.

 

 

 

 

자본수지란

 

자본수지는 해외에서 차입을 하거나 투자를 하는 방식으로 발생하는 자본 유입, 유축액의 차이를 만ㄹ하는데요. 만약 자본수지가 흑자라고 한다면 외화가 유입되는것이 유출되는것보다 많은것을 뜻합니다. 반대로 적자라면 외화가 유입되는것보다 유출되는것이 더 많다는것이죠.

자본수지는 온전히 투자를 한 돈에 대해서만 계산이 된답니다. 투자를 한 돈과, 투자를 해서 벌어들인 소득은 따로 구별을 합니다. (이자, 배당 같은 소득은 경상수지의 소득수지로 구분합니다.)

 

 

 

재테크를 할때 상품수지를 체크하자

국제수지란 무엇인지, 경상수지 자본수지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재테크를 하면서 챙겨봐야 할 중요한 지표중 하나는 바로 상품수지 입니다. 경상수지가 좋아질 경우 수출을 하는 기업위주로 관심을 가지는것이 좋습니다. 이와 반대로 경상수지가 좋지 않다, 악화된다는 상황이라면 달러가치가 상승하게 되기 때문에, 이때 사들인다면 비싼값으로 사들이게 되겠죠? 이럴때에는 상황을 살피며 관망하는것이 도움이 된답니다. 달러가치가 상승을 하면 외국에 부채를 가지고 있는 기업들은 당연히 부담이 증가하게 됩니다. 당연히 적자로 이어질 수 밖에 없죠. 

 

 

나라간에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것을 반복하면서 경제는 발전을 하게 되고, 또 이러한 과정들 속에서 개인 투자자들이 이자, 투자소득을 얻게 될 수 있는데요. 재테크, 투자를 하려면 경제 상황을 알아야 한다는 말이 바로 이런이유 때문입니다. 경제 상황을 알아야 지금은 어디에 관심을 가지면 좋을지, 멈춰야 할지 달려야 할지, 상황을 비교적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죠!

 

 

2022.01.28 - [경제] - 연말정산 이란 무엇인가

 

연말정산 이란 무엇인가

보너스. 혹은 뱉어냄. 연말정산 이란 무엇인가 생각을 해본다면, 아마 겪는 사람마다 다른 의미로 다가올것입니다. 누군가에게는 13월의 월급이 될 수 있고, 누군가에게는 반대로 또다른 지출이

gahomansa.tistory.com

2022.01.27 - [경제] - 비트코인 이란 무엇인가? 앞으로의 전망

 

비트코인 이란 무엇인가? 앞으로의 전망

비트코인 이란 도대체 무엇이길래 전세계 사람들이 열광하는것일까요. 심지어 돈 많은 테슬라 CEO 마저 도지코인에 열광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었죠. 새로운 재테크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는 비

gahomansa.tistory.com

2022.01.26 - [경제] - 원자재 금 은 석유 투자 방법

 

원자재 금 은 석유 투자 방법

투자를 할 수 있는 대상이 굉장히 많습니다. 금이나 은, 석유, 구리 처럼 공급은 정해져있지만 수요의 변동 가능성이 급격한 대상에 투자를 하는것을 원자재 투자라고 하는데요. 금이나 은, 석유

gahomansa.tistory.com

2022.01.25 - [경제] - 환율 상승 하락과 주가 관계 - 한번에 파악

 

환율 상승 하락과 주가 관계 - 한번에 파악

지난번에 환율과 부동산이 가지고 있는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환율 상승 또는 하락과 주가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도대체 이놈의 환율은 부동산, 주가에 영향을 미

gahomansa.tistory.com

2022.01.25 - [경제] - 환율 부동산 - 모르면 안되는 관계

 

환율 부동산 - 모르면 안되는 관계

환율과 부동산이 대체 무슨 관계일까요? 나는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데, 남의 나라 돈과 무슨 관계가 있길래, 부동산 투자를 할때 환율 눈치를 봐야 한다는것인지 알아보실까요? 환율 하락은 곧

gahomans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