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환율 하락 상승이란 ( 평가절하 평가절상 뜻

(。・・。) 2022. 3. 22. 13:12

환율 하락 상승

 

환율 이란?

우리나라의 화폐(단위 : 원)와 다른 나라 화폐의 교환 비율입니다. 전세계에는 수많은 종류의 화폐가 사용되고 있는데요. 환율이라는 것을 없애고자 한다면 각각의 다른 나라와 아얘 거래를 하지 않는다거나, 전 세계가 동일한 화폐를 써야만 합니다.

 

오늘날 전세계는 하나라고 외치고는 있지만, 전 세계의 모든 화폐를 통일하는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환율을 잘 알아두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옛날보다 해외여행을 가는 경우도 많고 (물론 최근에는 코로나시대로 인해 거의 불가능해졌지만), 해외직구, 구매대행도 많이 하기 때문에 환율을 어렵게 생각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환율 하락이란

예를 들어 해외에서 파는 상품을 직구하려고 할때, ‘환율 하락(환율이 떨어진)' 상태라면 어떨까요?

여기서 중요한것은 달러의 가치가 떨어진것인지, 원화의 가치가 떨어진것인지 정확하게 아는것입니다. 둘 중에서 어떤 화폐의 가치가 떨어졌냐에 따라서 우리가 지불해야할 돈은 달라지게 됩니다.

 

보통 환율이 떨어졌다. 라고 표현을 할때에는 '달러'의 가치가 떨어졌다는것을 말합니다. 이말인 즉슨 원화의 가치는 높아졌다는것이죠. 이렇게 달러의 가치가 떨어지고 원화의 가치가 오른것이라면 해외직구를 하려는 경우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달러가 1,200원 -> 1,000원으로 환율 하락했을때

예전엔 50달러 짜리를 구매할때 6만원이 들었다면, 5만원으로 구매를 할 수 있게 된것입니다. 같은 물건을 사도 돈을 덜 내고 사들일 수 있게 된것이죠. 환율이 떨어지면 해외에서 물건을 사들이는 사람은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환율 상승이란

반대로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어떨까요? 1,200원 이었던 달러의 가치가 1,400원이 된다면?

예전엔 50달러 짜리를 구매할때 6만원이 들었다면, 7만원으로 구매를 할 수 있게 된것입니다. 같은 물건을 사도 돈을 더 많이 사들일 수 있게 된것이죠. 환율이 상승하면 해외에서 물건을 사들이는 사람은 그만큼 손해를 보게 됩니다.

 

평가절상 뜻 평가절하 뜻

 

평가절상 평가절하 뜻

 

‘환율이 올랐다/떨어졌다’라는 말 대신 ‘평가절상/평가절하’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상, 하를 생각하면 그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가치가 상승하면 평가절상, 가치가 하락하면 평가절하!

 

평가절상: 1달러 = 1,000원 ⇒ 1,100원 (가치 상승)

평가절하: 1,000원 ⇒  900원 (가치 하락)

 

뉴스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말로 원화 강 & 원화 약세 라는 말도 있습니다. 기준이 되는 화폐에 따라서 달러 강세, 달러 약세 또는 유로 강세,  유로 약세 등으로 표현하죠.

 

원화 강세는 말그대로 원화의 힘이 강해졌다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원화의 가치가 높아졌다는 것이죠. 이말인 즉슨 달러 환율이 떨어졌다는것을 말합니다.

 

반대로 원화 약세는 원화의 힘이 약해졌다는 뜻으로 1달러에 1,000원 이던것이 1달러 = 1,100이 된것과 같습니다.

우리가 제일 흔하게 사용하고 접하게 되는 표현은 ‘원·달러 환율 상승/하락’입니다. 원칙대로 표현을 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통화를 먼저 적어야 합니다. 기준이 되는 통화는 한국 화폐가 아닌 기축통화인 외국 화폐, 즉 달러 입니다. 

 

보통의 사람이 환율의 변동 영향을 직접적으로 체감하는일은 드뭅니다. 우리가 주로 접하는 달러 체감은 해외여행이나 해외직구, 혹은 외국에 돈을 보내야 할 때 정도이죠.

 

하지만 수출입 업체를 운영하고 있다면 환율의 미세한 변동에도 큰 파장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어제까지만해도 천국이었다가 오늘 아침엔 지옥이 될수도 있는 노릇이죠.

 

 

환율 상승 하락에 따른 변화 체감

어제까지만해도 1달러에 1,000원 하던 환율이 1,100원으로 올랐다고 할때, 어떤 일들이 일어날까요?

 

1. 해외직구 구매자 :  150달러(15만 원)짜리 물건을 사려던 사람 >> 하루 만에 15,000 원을 더 지불하게 되었지만, 사실 큰 일은 아닙니다.

 

2. 해외여행 계획자 : 여행 경비 1,500달러를 150만 원으로 환전하려 했던 사람 >> 15만 원이 더 들게 되었습니다. 돈이 조금 더 들어가긴 하지만 엄청나게 큰 일은 아닌 정도입니다.

 

3. 유학생 가정 : 생활비로 한국에서 1만 달러(1,500만 원)를 보내려했지만 >> 하루 만에 150만 원을 추가로 지불해야합니다.

 

4. 수입업자 : 외국 기업에서 15만 달러(1억5천만원 원)를 주고 물건을 사오던것 >> 하루 만에 1,500만 원 추가 지출을 하게 되었습니다. 자본금 관리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수출업자 : 외국 기업과 150만 달러(15억 원)짜리 계약을 맺으려던 수출업자 >> 환율상승으로 인해 하루 만에 1억5천만원 원을 더 벌게 되었습니다. 가장 이득을 보게 되는 케이스 이죠.

 

이렇듯 큰 규모의 수출입을 운영하는 회사의 경우 환율변동에 매우 민감할 수 밖에 없습니다. 100원, 200원이 오르면 엄청나게 큰 비용문제가 발생하게 되죠. 물론 하루아침에 몇백원씩 상승하는 일은 굉장히 드문일입니다. 주식투자를 할때 환율의 변동을 조금이라도 미리 예측을 하거나, 빨리 알아챌 수 있다면 그에 따른 투자수익을 잘 꾸려나갈 수 있습니다. 환율변동과 관련된 다양한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죠!

 

 

환율 하락이란 환율 상승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평가절하 평가절상 뜻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더 다양한 경제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것입니다!

 

 

주식 시가총액 이란 ( 순위 계산 상위종목 체크

 

주식 시가총액 이란 ( 순위 계산 상위종목 체크

시가총액 영어로 : Market Cap 시가총액 계산 : 주식 시장에 상장이 되어있는 기업에서 발행한 모든 주식 수 X 주가 주식 투자 관련 이야기를 듣다보면 시가총액 이란 말을 들을때가 많습니다. 주식

gahomansa.tistory.com

코스피 코스닥 지수란 세계 주가지수 쉽게 알기

 

코스피 코스닥 지수란 세계 주가지수 쉽게 알기

국내 주가지수 코스피 지수란 코스피란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자입니다. 즉, 우리나라의 '종합주가지수'를 말하죠. 유가증권시장이라고도 부르는데요, 1980년 1월 4일 시가총액을 기준으

gahomansa.tistory.com

국가, 1인당 GDP란 경제성장률 쉽게알기

 

국가, 1인당 GDP란 경제성장률 쉽게알기

매일아침 뉴스 기사만보더라도 GDP란 용어를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경제상황을 설명할때 어떠한 기준이 되는것을 뜻하는 단어처럼 느껴지는데요. 과연 이 GDP란 무엇이길래 경제성장률 이야기

gahomansa.tistory.com

환율 상승 하락과 주가 관계 - 한번에 파악

 

환율 상승 하락과 주가 관계 - 한번에 파악

지난번에 환율과 부동산이 가지고 있는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환율 상승 또는 하락과 주가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도대체 이놈의 환율은 부동산, 주가에 영향을 미

gahomans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