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스피 코스닥 지수란 세계 주가지수 쉽게 알기

(。・・。) 2022. 3. 22. 01:05

코스피 지수란

국내 주가지수

코스피 지수란

코스피란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자입니다. 즉, 우리나라의 '종합주가지수'를 말하죠. 유가증권시장이라고도 부르는데요, 1980년 1월 4일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삼아 '100'으로 둔 다음, 비교 지수를 환산한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 = (기준시점의 시가총액 / 비교시점의 시가총액) x 100

 

쉽게 생각해서 코스피는 일정 규모 이상의 대기업이 주를 이루는 시장이 코스피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가 동향을 대표하기 때문에 코스피 지수를 보면 주식, 경제 흐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 코스피 시총 상위 10개 종목은 우리가 대부분 알고 있는 대기업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네이버, 카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전자우, 카카오, 현대차, 삼성 SD, LG화학 같은 300억원 이상의 자기자본을 가진 기업이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를 확인하면 경제 상황을 대략적으로 예상을 해 볼 수 있습니다. 쉽게말해 코스피가 상승하면 현재 주식시장이 좋은것이라고 말할 수 있고, 반대로 떨어진다면 주식시장이 좋지 않다는것을 의미하죠. 코스피를 환산하는 근거는 시가총액에 있습니다. 시가총액이란 앞서 포스팅한 내용을 참고하시면 쉽게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주식 시가총액 이란 ( 순위 계산 상위종목 체크

 

주식 시가총액 이란 ( 순위 계산 상위종목 체크

시가총액 영어로 : Market Cap 시가총액 계산 : 주식 시장에 상장이 되어있는 기업에서 발행한 모든 주식 수 X 주가 주식 투자 관련 이야기를 듣다보면 시가총액 이란 말을 들을때가 많습니다. 주식

gahomansa.tistory.com

시가총액이라는것은 주식이 가격이 늘어나거나, 주식수가 증가할때 늘어날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이 늘어난것은 주식이 가지고 있는 가치가 올라갔다는것을 의미하는데요. 이는 곧 기업의 가치가 올랐다는것과 같은 말 입니다. 

 

기업의 가치 상승 = 현재 또는 미래수익이 좋을 것

 

그렇기 때문에 코스피가 상승하면 경기가 좋아져서 활성화 되고 있다는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코스피가 내려갈 경우에는 경기가 나빠지는 상황이라고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물론 코스피가 상승한다고 해서 경기가 무조건적으로 좋아질것은 아닙니다. 특정 업체에 따라서 코스피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가총액 뿐 아니라 전체적인 시장 흐름을 파악해야합니다.

 

 

코스피 상장조건

코스피 상장 조건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 몇가지를 살펴본다면, 자기자본 300억원 이상이어야 하고, 상장주식 100만주 이상,  매출이익 최근 1,000억 이상, 그리고 3년 평균 700억 이상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것 말고도 여러가지 조건에 부합해야 코스피로 상장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상대적으로 믿을 수 있는, 탄탄한 기업이다보니 주식을 처음 시작하는 투자자들이 많이 선택하는 종목이기도 합니다.

 

 

코스닥 지수란

주식 코스닥

 

코스닥이란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의 약자입니다. 미국의 나스닥을 벤치마킹하여 만든 제2의 증권시장이죠. 코스피가 1군이라면 코스닥은 2군 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에 상장이 되지 않은 기업을 위한 시장으로 중소기업이나 IT, 벤처 기업이 활동을 합니다. 아직까진 코스피에 상장되지 못했지만 성장가능성이 있는 기업들이 많이 숨어있습니다. 반대로 '깡통' 기업도 넘치기 때문에 조심해야하죠. 그렇다보니 수익과 손해의 폭이 비교적 큰 편이지만, 코스닥은 2군 정도이기 때문에 경제를 흔드는 영향력은 코스피보다 적은 편입니다.

 

코스닥 지수란

 

코스닥 상장조건

코스닥의 상장 조건은 코스피 보다 벽이 낮은 편입니다. 중소기업, 벤처, IT 다양한 시장에서 상장을 하죠. 종종 상장폐지가 되는 종목도 있기 때문에 초보 주식투자자라면 코스닥보다는 코스피로 입문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자기자본금 30억원 이상, 시가총액 90억 이상, 그리고 주주 500명 이상, 매출액 50~100억의 조건을 갖추면 코스닥에 상장을 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보다 훨씬 장벽이 낮은 편이죠.

 

 

종합주가지수

 

코스피 코스닥 차이가 보이시죠? 코스피는 대기업, 코스닥은 중소기업이라고 생각하면 매우 쉽습니다. 아무래도 대기업은 안전한 면이 있기 때문에 큰 요동이 없는대신 큰 폭의 상승도 기대하는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반대로 코스닥은 중소기업이 많이 포진되어있기 때문에 적은 돈으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고, 큰 폭의 수익률을 기대해볼수도 있죠.

 

하지만 그만큼 상장이 폐지되거나, 수익률이 대폭 하락하는 현상도 흔하게 발생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코스피에서 어느정도 주식투자에 대한 감을 익히신 후, 코스닥에 발을 들이는것이 좋답니다. 무료로 추천종목을 알려주는곳도 많으니 충분히 알아보고 비교하고 공부를 해보시는것을 권해드려요!

세계 주가지수

 

우리나라에서 살아가고, 우리나라에서 투자를 하고 있지만 한국 경제와 국제 경제는 언제나 맞물려서 돌아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 주가지수 뿐 아니라 세계 주가지수 에도 관심을 가져야하죠.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외국 시장은 뉴욕증시 입니다. 미국의 뉴욕증시가 휘청거리면 일본의 도쿄증시가 휘청거립니다. 그리고 중국의 상하이 증시 또한 휘청거리게 되죠. 반대로 다른 나라의 증시로 인해 뉴욕증시가 흔들리기도 합니다. 

 

 

미국 주가지수 

1. 다우지수 : 다우존스사 에서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있는 우량 기업 30곳을 선발하여 표본삼아 산출해 내는 지수

2. S&P500 지수 : 스탠다드 앤드 푸어스 회사에서 500개의 종목을 토대로 발표

3. 나스닥 지수 : 구글, 애플, 아마존 등 인터넷/첨단기술 관련 업종이 포진되어있으며 미국경제, 국제경제에 큰 영향

 

유럽 주가지수

1. FTSE100 지수 : 영국 주가지수

2. DAX30지수 : 독일 주가지수

3. CAC40지수 : 프랑스 주가지수

 

일본 주가지수

닛케이지수 : 일본경제신문(닛케이)에서 발표하는 일본 주가지수

 

중국 주가지수

상하이종합지수, 선전성분지수

 

 

 

코스피 지수란 코스닥 지수란 무엇인지,  세계 주가지수 정보를 살펴보았는데요! 종합주가지수는 마치 그 나라의 날씨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날씨가 좋고 흐린것처럼 주식시장 분위기의 맑고 흐림을 예측해볼 수 있는 지표가 되어주죠. 우리나라 뿐 아니라 해외의 세계 주가지수에도 관심을 가진다면 그동안 보지 못했던 다양한 흐름과 정보를 파악해 나갈 수 있습니다.

 

알면 알수록 재미있고, 복잡하지만 매력있는 경제이야기. 코스닥 지수란, 코스피 지수란 이외에 더 많은 경제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포스팅도 함께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전세계를 움직이는 물가 상승 '폭등' 요인 원인 4가지

 

전세계를 움직이는 물가 상승 '폭등' 요인 원인 4가지

물가 상승 이유, 원인 뭘까? 도대체 물가는 언제 오르고 언제 떨어지는것일까요? 전세계를 움직이고 있는 물가. 물가 상승, 물가 폭등 현상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요인들을 살펴보았습니다. * 보

gahomansa.tistory.com

환율 부동산 - 모르면 안되는 관계

 

환율 부동산 - 모르면 안되는 관계

환율과 부동산이 대체 무슨 관계일까요? 나는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데, 남의 나라 돈과 무슨 관계가 있길래, 부동산 투자를 할때 환율 눈치를 봐야 한다는것인지 알아보실까요? 환율 하락은 곧

gahomansa.tistory.com

기축통화란 국가 주도권 힘

 

기축통화란 국가 주도권 힘

해외 어디를 가든 우리가 생각하는 돈은 일단 '달러!' 입니다. 우리 나라에서 해당 나라 돈으로 바로 바꿀수도 있지만, 환전이 불가능한곳도 있죠. 그럴경우 주로 달러로 환전을 해서 현지에서

gahomansa.tistory.com

국가, 1인당 GDP란 경제성장률 쉽게알기

 

국가, 1인당 GDP란 경제성장률 쉽게알기

매일아침 뉴스 기사만보더라도 GDP란 용어를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경제상황을 설명할때 어떠한 기준이 되는것을 뜻하는 단어처럼 느껴지는데요. 과연 이 GDP란 무엇이길래 경제성장률 이야기

gahomans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