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어디를 가든 우리가 생각하는 돈은 일단 '달러!' 입니다. 우리 나라에서 해당 나라 돈으로 바로 바꿀수도 있지만, 환전이 불가능한곳도 있죠. 그럴경우 주로 달러로 환전을 해서 현지에서 해당 국가의 돈으로 바꾸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 우리는 '달러'를 어느나라를 가든 사용할 수 있는걸까요? 이렇게 세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돈을 '기축통화' 라고 합니다.
기축통화란?
기축통화가 되기 위한 자격
1) 신뢰
세계 어느곳에서든 믿고 사용할 수 있으려면 '신뢰'가 형성되어야 합니다. 이 국가의 돈은 안전하기 때문에 이 돈의 가치가 사라지지 않는다는것이 증명되고 보증되어야하죠.
미국은 2차 세계대전 직후만해도 전세계에 있는 금의 70%나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미국중앙은행에서는 달러를 금으로 교환해주었는데요. 이때를 기점으로 미국의 달러가 기축통화의 위치를 가질 수 있게 되었던것입니다. 금은 세계 어느나라를 가도 같은 값어치를 가지고 있으니까 말이죠.
하지만 얼마후 미국은 진행하던 금 교환을 그만두게 되었는데요. 그때부터 기축통화의 체제가 무너지긴 했지만, 아직까지도 달러의 위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도 미국은 자신들의 군사력과 경제력 등으로 자신들의 돈의 가치를 보증해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2) 대중성
대중성이라는 말이 조금 웃기긴합니다만, 기축통화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해야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러게 위해서는 나라 자체가 개방적이어야하죠. 만약 미국의 무역시스템과 금융시스템이 굉장히 폐쇄적이었다면 결코 기축통화의 자리에 오르지 못했을것입니다. 자신들만 사용하는 돈이라면 해외사람들은 절대 사용할리 없겠죠. 미국은 자유무역을 외치는 대표적인 곳이었는데요. 세계무역기구 또한 미국에서 주도하에 출범되었습니다.
3) 다양한 수입국가
다양한 나라에 자신들의 돈을 뿌리기 위해서는 수입을 해야합니다. 고작 몇개국과의 거래만으로는 택도 없죠. 무수한 나라들과 무역을 트고 사고 파는 거래를 해야합니다. 그리고 파는것보다 사는것을 더 많이 해야 달러를 많은 나라에 보낼 수 있게 되죠.
기축통화의 주도권과 힘
미국의 달러가 기축통화가 되면서 꽤나 많은 이익을 누리고 있는것이 바로 미국입니다. 해외 여러곳에서 결제를 하기 위해 달러를 주로 사용하는데요. 다른 국가들은 달러를 벌기 위해서 많은 무역활동을 해야하지만, 미국은 다릅니다. 수많은 나라에서 달러로 결제를 하니, 미국은 달러를 찍어내기만 하면 되죠. 자연스럽게 돈을 벌어들이고, 계속해서 달러의 힘을 키워나가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세계 5대 기축통화
영국의 파운드, 미국의 달러, 유럽의 유로, 일본의 엔화 그리고 중국의 위안화가 있는데요. 유로화와 파운드, 엔화는 준 기축통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달러는 결제가 불가능한 나라가 없지만 준기축통화는 결제가 불가능 나라가 있죠. 하지만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있는 통화입니다.
그리고 위완화는 예비기축통화로 아시아 권에서는 사용량이 증가했지만 금융시스템 자체가 낙후되어 기축통화로 발전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경우입니다.
2022.01.22 - [경제] - 기준 금리인상 주가 영향 : 나무-물의 관계
기준 금리인상 주가 영향 : 나무-물의 관계
금리인상이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화분에심어진 나무에게 물은 꼭 필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물이 꼭 필요하다고해서 매일 2리터씩 꼬박꼬박 부어주면 어떨까요? 물을 많이 먹어서 나무
gahomansa.tistory.com
2022.01.21 - [경제] - 기준금리 인하 경기 상승을 위한 방법
기준금리 인하 경기 상승을 위한 방법
경기가 침체 되어있을때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무엇이 있을까요. 금융위기가 시작되었던 미국은 당시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자산가치가 폭락해버리고 주가가 떨어지며, 실업자가 속속 생겨나고
gahomansa.tistory.com
2022.01.21 - [경제] - 기준금리 물가 상승 통화량 - 묶여있는 관계!
기준금리 물가 상승 통화량 - 묶여있는 관계!
금리, 물가, 통화량 애매히 알고는 있는데 설명하기는 힘든 그런 녀석들입니다. 거의 매일 듣는 말이지만 막상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어렵기도한 단어들인데요. 금리, 물가, 통화량 이들은 서로
gahomansa.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 부동산 - 모르면 안되는 관계 (0) | 2022.01.25 |
---|---|
갭투자란 - 부동산을 내돈없이 장만하는 방법 (0) | 2022.01.25 |
기준 금리인상 주가 영향 : 나무-물의 관계 (0) | 2022.01.22 |
기준금리 인하 경기 상승을 위한 방법 (0) | 2022.01.21 |
기준금리 물가 상승 통화량 - 묶여있는 관계! (0) | 2022.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