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 이론 : 투자 결정하는 시기

(。・・。) 2022. 3. 31. 11:51

앙드레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 이론

 

앙드레 코스톨라니 (Andre Kostolany) 는 전설적인 투자자로 헝가리 출신. 그는 ‘달걀 모형’이라고 부르는 자신만의 이론을 밝히며 금리와 식, 예금 채권, 부동산 등이 가지고 있는 관계와 투자를 하기 가장 좋은 투자 시기 라는것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의 달걀 모형 이론에도 허점은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자본금의 차이인데요. 그가 주장하는 이론은 꽤나 그럴듯해 보이지만, 실제로 돈이 많지 않은 사람의 입장에서는 딱히 적용할만한 것이 거의 없는 편입니다. 이 달걀 이론을 만든 코스톨라니와 보통의 사람들이 운용할 수 있는 자금의 크기는 비교도 안되게 다르기 때문이죠.

 

기껏해야 몇백 혹은 몇천 정도를 운용할 수 있는 우리의 경우, 만족할만한 큰 수익을 내기는 어렵습니다. 최선을 다해 돈을 모으고, 열심히 돈을 굴린다 하더라도 1~2%의 낮은 금리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몇만원 혹은 100만원 내외 일것입니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는 이  달걀 이론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지금이 어느 정도 모였을때, 충분히 시도해볼 수 있기 때문이죠. 코스톨라니 달걀모형 이론에서 투자를 결정하는 기준은 바로 '금리' 입니다.

 

 

금리와 시장관계

 

금리가 낮아지게 되면 사람들은 돈을 쉽게, 많이 빌려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경기가 활성화 되는것이죠. 하지만 반대로 금리가 높아지게 되면 활발했던 경기가 침체되고 맙니다. 그렇다보니 경기 침체나 상승 때문에 금리를 변동시키기도 합니다.

 

경기가 너무 침체되어서 모든 사람들이 고통을 받게 된다면 정부에서 일부러 금리를 낮춥니다. 그러면 사람들이 돈을 더 많이 쓰게 되고, 자연스럽게 경기가 살아나게되죠. 반대로 경기가 지나치게 과열되는 경우에는 정부에서 금리를 올리는데요, 이 시기엔는 사람들의 돈을 은행으로 끌어들일 수 있습니다.  금리가 높으니 다들 저축을 하려고 하기 때문이죠.

 

 

달걀  모형 이론

A단계 : 금리 고점

금리가 높아진 상태라면 경기가 침체 되고,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정부는 침체 된 경기를 회복시키기 위해 금리 인하를 진행하게 되죠. 이쯤 되면 한국은행에서 금리인하를 검토하고 있다는것을 예상하는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게 됩니다.

부자들의 액션 : 금리가 내려가면 예금에 묻어두었던 자금을 다른 투자상품으로 갈아탈 준비를 해야합니다.

일반인의 액션 : 금리가 높기 때문에 돈을 모으기는 커녕 대출금을 갚는것도 빠듯합니다.

 

B단계 : 예금인출 및 채권투자

부자들의 액션 : 금리가 낮아지니 예금에 있던 돈을 빼서 채권으로 갈아탑니다. 예금이자가 낮기 때문에 더이상 넣어 둘 이유가 없어지는것이죠. 우량한 채권을 선택해서 투자를 한다면 어느정도의 수익을 노려볼 수 있습니다. 

일반인의 액션 : 대출금리가 낮아져서 약간의 여유가 생깁니다. 그러니 그동안 모으지 못한돈을 모아보기 위해 적금, 예금에 가입을 합니다.

 

 

C단계 : 금리 저점 시작

금리가 낮아지면 대출을 받는데 부담이 없어지고, 그만큼 부동산을 구매하기 가까워집니다. 채권에서 부동산으로 이동이 되며 부동산 버블이 생기기 시작하는 시기이죠. 

부자들의 액션 : 채권에서 부동산으로 변경, 부동산 임대수익을 노립니다.

우리들의 액션 : 부동산 가격이 오를것이라는 소문이 들리지만 대출이자 부담으로 금리가 낮아지길 기다립니다. 

 

 

D단계 : 금리 저점

금리가 저점으로 떨어지게 되면 그만큼 경기가 과열됩니다. 부동산가격은 오르고,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내용의 기사들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E단계 : 금리 상승 시작

부자들의 액션 : 보유하고 있던 부동산을 처분하고 주식시장으로 발을 돌립니다. 안정성, 수익성을 어느정도 보장받을 수 있는 우량주 또는 배당주를 눈여겨 보고 있다가 투자를 합니다.

우리들의 액션 : 부자들이 내놓은 부동산들을 구매하게 됩니다. 앞으로 부동산 가격은 더 오를것이라고 예상을 하고, 금리도 낮아졌으니 부동산을 매입하려 나서게 됩니다.

 

F단계 : 금리 고점 사적

부자들의 액션 : 그동안 주식시장에서 재미를 보았으니, 야금야금 발을 빼기 시작합니다. 경기가 활성화 되어 주식들은 고점에서 신나게 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금리가 높아진 만큼, 부자들은 안정적인 예금으로 눈을 돌리게 되죠. 

우리들의 액션 : 기대했던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부동산으로 얻은 손해를 만회하기 위해서 수익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주식시장에 뛰어듭니다.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주식시장은 과열되고, 점점 주가가 하락을 하게 됩니다. 

 

왜 나만 들어가면 주식 가격이 떨어지는것일까? 에 대한 고민을 하신적이 있나요? 그만큼 다른 사람들도 몰리기 때문입니다. 이미 진행 된 활성화로 인해 가격은 높아질대로 높아졌고, 떨어질 일만 남은것이죠. 

 

A단계 : 금리고점

A, B, C, D, E, F 단계를 돌아 다시 A 단계로 진입합니다. 

부자들의 액션 : 주식시장보다는 안정적인 예금으로 통해 금리가 하락하는 현상을 꾸준히 관찰합니다.

우리들의 액션 : 주식을 빼야할지, 버티기를 해야할지 고민이 되는 상황입니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더 떨어지기 전에 싸게라도 내놔야 하는지 고민을 하게 되고, 여기서 투자에 실패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 이론에서 알 수 있는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경기 상황을 파악하고 미리 준비를 하는지, 막차를 타는지 이것이 중요하다는것입니다. 

 

코스톨라니 달걀 이론에 맞추어서 자산을 운용한다기 보다, 경기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그에 따른 준비방법과 대책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하죠. 자신만의 투자 개념이 정확하게 세워져 있어야 줄줄이 다가오는 경기 상황에 대비해서 손실을 피하고,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투자결과는 자본금의 크기에 따라 정말 많은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우리들도 경제에 대한 개념과 방법을 터득하고 있어야 차근차근 목돈을 만들어 나가고, 좀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산을 키워나갈 수 있답니다.

 

코스피 코스닥 지수란 세계 주가지수 쉽게 알기

 

코스피 코스닥 지수란 세계 주가지수 쉽게 알기

국내 주가지수 코스피 지수란 코스피란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자입니다. 즉, 우리나라의 '종합주가지수'를 말하죠. 유가증권시장이라고도 부르는데요, 1980년 1월 4일 시가총액을 기준으

gahomansa.tistory.com

전세계를 움직이는 물가 상승 '폭등' 요인 원인 4가지

 

전세계를 움직이는 물가 상승 '폭등' 요인 원인 4가지

물가 상승 이유, 원인 뭘까? 도대체 물가는 언제 오르고 언제 떨어지는것일까요? 전세계를 움직이고 있는 물가. 물가 상승, 물가 폭등 현상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요인들을 살펴보았습니다. * 보

gahomansa.tistory.com

기축통화란 국가 주도권 힘

 

기축통화란 국가 주도권 힘

해외 어디를 가든 우리가 생각하는 돈은 일단 '달러!' 입니다. 우리 나라에서 해당 나라 돈으로 바로 바꿀수도 있지만, 환전이 불가능한곳도 있죠. 그럴경우 주로 달러로 환전을 해서 현지에서

gahomansa.tistory.com

기준금리 물가 상승 통화량 - 묶여있는 관계!

 

기준금리 물가 상승 통화량 - 묶여있는 관계!

금리, 물가, 통화량 애매히 알고는 있는데 설명하기는 힘든 그런 녀석들입니다. 거의 매일 듣는 말이지만 막상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어렵기도한 단어들인데요. 금리, 물가, 통화량 이들은 서로

gahomansa.tistory.com